'리눅스 sticky bit'에 해당되는 글 1건

 

기본적인 권한 이외에도 특수 권한(special permission)이라는 것이 존재한다. 

SetUID, SetGID, Sticky bit 이 있으며, 8진수 권한의 제일 앞자리로 나타낸다.

  symbol 8진수 의미 설명 용도
SetUID user execute 권한 s 2^2 = 4

x+SetUID 프로그램(파일)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램의 소유자 권한으로 권한이 변경되어 실행됨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 유저 권한으로만 수행할 수 있는 액션을 해야 할 때
user execute 권한 S -+SetUID
SetGID group execute 권한 s 2^1 = 2 x+SetGID 프로그램(파일)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램의 소유 그룹 멤버로 권한이 변경되어 실행됨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 그룹 권한으로만 수행할 수 있는 액션을 해야 할 때
group execute 권한 S -+SetGID
Sticky bit other execute 권한 t 2^0 = 1 x+sticky bit 디렉토리 내에 누구나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나, 삭제는 파일 소유자만 가능하도록 함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하는 파일을 모아놓는 디렉토리를 보호하고자 할 때
e.g. /tmp

 

1. SetUID 설정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u+s {파일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4{기존권한} {파일명}

e.g.

# chmod u+s program.exe
# chmod 4755 program.exe

 

2. SetUID 제거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u-s {파일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0{기존권한} {파일명}

* special permission 자리를 0으로 세팅하므로, SetUID 이외에도 모든 special permission 을 지워준다.

e.g.

# chmod u-s program.exe
# chmod 0755 program.exe

 

3. SetGID 설정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g+s {파일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2{기존권한} {파일명}

e.g.

# chmod g+s program.exe
# chmod 2755 program.exe

 

4. SetGID 제거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g-s {파일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0{기존권한} {파일명}

* special permission 자리를 0으로 세팅하므로, SetGID 이외에도 모든 special permission 을 지워준다.

e.g.

# chmod g-s program.exe
# chmod 0755 program.exe

 

5. sticky bit 설정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o+t {디렉토리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1{기존권한} {디렉토리명}

* 보통 모든 유저가 파일 생성은 가능하게 하므로, 1777 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임

e.g.

# chmod o+t tmp
# chmod 1777 tmp

 

6. sticky bit 제거방법

symbol 파라미터 형식: chmod o-t {디렉토리명}

8진수 모드 형식: chmod 0{기존권한} {디렉토리명}

* special permission 자리를 0으로 세팅하므로, sticky bit 이외에도 모든 special permission 을 지워준다.

e.g.

# chmod o-t tmp
# chmod 0777 tmp

 

블로그 이미지

망원동똑똑이

프로그래밍 지식을 자유롭게 모아두는 곳입니다.

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