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리눅스 파일 기본권한 설정'에 해당되는 글 1건

1. umask 란?

아래와 같이 파일과 디렉토리를 새로 생성하면 기본으로 설정되는 권한은 어떻게 설정하는 걸까?

# touch file1
# mkdir directory1

# ls -ld file1 directory1
drwxr-xr-x 2 root root 4096 Mar 15 19:40 directory1 # 755
-rw-r--r-- 1 root root    0 Mar 15 19:41 file1 # 644

 

바로 기본권한에서 umask 에 설정된 권한을 제외한 권한이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.

file 은 기본권한이 0666, directory 는 0777 이다.

# umask
0022

 

e.g.

  file directory
default 0666 0777
umask 0022 0022
default permission 0644 0755
default permission symbol rw-r--r-- rwxr-xr-x

 

2. umask 설정 방법

커맨드: umask {8진수 파일권한}

e.g.

# umask 0002

(맨 앞의 0 생략 가능)

 

3. umask symbol 출력

커맨드: umask -S

디렉토리 기준으로 default permission symbol 을 출력한다. 즉, 디렉토리 생성시 기본 권한을 출력한다.

 

4. 유저 로그아웃시에 umask 를 유지하는 방법

기본적으로 로그아웃시 umask 값은 초기화된다.

유지하려면 startup scrypt 에 umask 세팅을 저장해야 한다.

# cat >> ~/.bashrc
umask 0002 # cmmand + D 로 저장

(vi 에디터가 없을시)

블로그 이미지

망원동똑똑이

프로그래밍 지식을 자유롭게 모아두는 곳입니다.

,